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인지편향 : 모호성의 오류(Ambiguity effect)

by 암게링리치 2024. 8. 27.
반응형

 

모호성의 오류(Ambiguity effect)는 선택지 중에서 정보가 부족한 보기를 피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모호성의 오류란?

 

공이 30개 들어 있는 통이 있다고 가정한다. 빨간색 공은 10개가 들어있고, 흰색 공과 검은색 공은 몇 개 들어있는지 모른다. 이때 1 유형과 2 유형 중에 하나를 골라 상금을 받아가는 규칙이다.

 

  • 1 유형 : 빨간색 공을 뽑으면 상금 1,000만 원! (확률 33.3%)
  • 2 유형 : 검은색 공을 뽑으면 상금 1,000만 원! (확률 ???%)

 

사실 확률상 계산해 보면, 2 유형도 확률은 33.3%다. 더 많이 있을 수도, 적게 있을 수도 있어서 흰/검 확률은 여전히 반반이다. 그러니 30개 중에 검은색 공을 뽑는 확률은 33.3%이다.(검은색 공이 몇 개인지 알지 못하는 한)

 

그렇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모호성의 오류로 인해 2 유형을 고르지 않는다. 대부분 확실한 1/3 확률인 1 유형을 고른다.

(출처 : 위키피디아 번역한 거)

 

 

 

모호성의 오류, 의사 결정

 

의사 결정을 망설일 때, 대부분 정보 부족인 경우가 많다. 모호성의 오류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데, 실은 찾아보면 정보가 있을지도 모른다. 요즘은 정보 얻기가 쉬우니까.

 

예를 들어 위에서도 검은색 공이 11개이고, 흰색 공이 9개였으면 2 유형 고르는 게 무조건 이득이지 않나.

 

미군 해병대는 70% 확실하면 의사결정을 하라는 법칙이 있다는데, 70%까지는 정보를 알아보라는 말이기도 하다. 어떤 책에서는 30~70% 사이의 정보로 의사결정을 하라고 한다. 이는 모호성의 오류를 감안한 것일지도.. (뇌피셜) 그러니 급한 의사 결정 상황이 아니라면 정보를 얻어보자.

 

 

 

 

 

 

모호성의 오류와 휴리스틱

 

여담으로 휴리스틱(heuristic) 때문에 사람들이 모호성의 오류라는 선택을 하는 것이라는 말도 있다.

 

휴리스틱도 인지 편향 중 하나이다. 휴리스틱은 선택지가 불분명하거나 빠르게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서의 어림짐작을 말한다.

 

 


 

 

다른 인지편향을 알고 싶으면 아래 글을 읽어보면 된다.

 

 

 

인지편향 목록 166개(더 시스템)

책 '더 시스템'에 나오는 인지편향 목록인데, 하나씩 공부할 겸 블로그에 차례대로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인지편향 목록이 총 166개가 있고, 저자는 자신이 어떤 인지편향을 갖고 있는지 모르면

ahshwkfo222.tistory.com

 

반응형

댓글